Framework (31) 썸네일형 리스트형 [Django] Django Model Field - FileField 사용예제 (2) 지난 글에서 Django 의 모델 필드 중 FileField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FileField 는 필드에 파일을 연결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타입으로 이 글에서는 이 필드를 사용하여 파일을 저장해보려한다.FileField 사용예제Django model 에서 FileField 를 사용하여 파일을 저장하는 예제이다. 먼저 장고의 settings.py 에서 FileField 의 파일을 저장할 기본 경로와 URL 인 MEDIA_ROOT 와 MEDIA_URL 값을 저장해준다. # settings.pyMEDIA_URL = '/media/'MEDIA_ROOT = os.path.join(BASE_DIR, "media") 그 다음 FileField 필드를 가지는 django model 클래스를 정의했다. .. [Django] Django Model Field - FileField (1) 1. FileFieldFileField 는 파일 업로드를 위한 필드이다. FileField 는 두가지 선택 인자가 있는데 upload_to 와 storage 이다.- FileField.upload_to파일 업로드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을 설정하는 속성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두가지 방법 모두 설정한 값들이 Storage.save() 메서드로 전달된다. 만약 아래와 같이 strftime() 형식을 포함한 문자열 값이나 Path 객체로 값을 설정한 경우, 파일 업로드시의 날짜/시간으로 해당 형식이 대체된다. class MyModel(models.Model): # 파일은 MEDIA_ROOT/uploads 경로에 저장된다. upload = models.FileField(upload_to="uploa.. [Django] select_related() 와 prefetch_related() Django 로 백엔드를 개발하던 중, 연관관계가 복잡한 엔티티들의 조회를 구현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성능을 생각해서 raw query 로 작성을 하려다가 이번기회에 Django ORM 에서 안 써본 기능 들을 쓰고싶어서 ORM 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연관관계를 가지는 엔티티들을 조회할 때, 일반 방식으로 접근하면 lazy loading 으로 N+1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문에 한번에 객체들을 조회할 수 있도록 eager loading 방식으로 구현해야 한다. Djnago ORM 에서는 eager loading 방식을 select_related() 와 prefetch_related() 두가지 기능으로 제공해주어 이에 대한 정리를 해보려한다.1. eager loading (즉시 로딩)ORM 에서 외.. [Spring]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 & WAS 동작 원리 파이썬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Gateway Interface 서버인 WSGI, ASGI 등에 대해 정리한 적이 있다. 이러한 Gateway Interface 서버는 파이썬으로 구현되어 있어서, Django와 같은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파이썬 모듈로 import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인터페이스 서버가 동작하는 프로세스 안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직접 import하여 Python object 또는 callable 형태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자바에서는 어떨까? 파이썬의 Gateway Interface 서버와 유사하게, 자바에도 Tomcat, Jetty 등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가 존재한다. 이들 서버 역시 요청을 받아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 [Django] Django 배포 - wsgi vs asgi 장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나면 이를 배포해야 한다. 자바 스프링의 경우 Tomcat과 같은 WAS 환경으로 배포된다. 하지만 파이썬은 자바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컴파일이 필요없고 인터프리터를 통해서 실행된다. 그렇다면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웹서버 환경에서 동작하는지 장고 애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정리한다.1. CGI vs WSGI vs ASGI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을 웹서버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웹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이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웹서버로 전달된 요청을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한 응답을 다시 외부로 반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방식을 인터페이스로 미리 정의해놓았고, 통신 방식에 따라서 CGI, WSGI, ASGI 등 다양하게.. [Spring] Spring 과 Tomcat 스프링을 사용하다 보면 톰캣 (Tomcat) 이라는 이름을 듣게된다. 예전에 공부했었던 웹서버, WAS 등의 기억을 더듬어서 막연하게 스프링에 내장되어 있는 WAS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갔었다. 이번 글에서는 톰캣이 무엇인지, 스프링과 톰캣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1. Web Server 와 WAS (Web Application Server)톰캣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전에 Web Server 와 WAS 의 개념부터 정리해보자. 일반적인 웹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규격에 맞는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는다. Web Server 와 WAS 는 둘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알맞은 응답을 보내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어떤 요청에 대응하는지 목적과 기능에 따라.. [SpringBoot] Logging - 3 (log4j2) 이전에 springboot 의 로깅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면서 logback 까지만 공부하고 사용했었다. 보다 최신 로깅 프레임워크인 log4j2 를 한번 들여다보고 싶었는데 기회가 없다가 이번에 개인 공부를 하면서 로그 환경을 설정할 기회가 있어서 log4j2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log4j2 log4j2 는 자바 로깅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log4j 의 최신버전이다. 비동기 로깅을 통해서 logback 이나 이전버전의 log4j 보다 성능을 향상시킨 버전이다. Log4j2 기능 Async Logger log4j2 는 비동기 로깅 기능이 추가되었다. 비동기 로깅은 I/O 작업을 별개의 스레드에서 실행하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서 logger 가 처리할 수 있는 처리량이 .. [FastAPI] BackgroundTasks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할 때, 작업이 오래 걸리는 요청에 대해서는 응답을 먼저 보내주고 백그라운드에서 나머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서 보통은 worker thread 를 돌리거나 worker queue 등을 사용하여 다른 쓰레드 또는 프로세스를 통해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FastAPI 에서는 starlette 의 BackgroundTasks 를 사용하여 요청에 대한 백그라운드 작업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BackgroundTasks 에 추가된 task 들은 FastAPI 에서 asynchronous 하게 실행한다. 이를 통해서 오래 걸리는 작업은 Background Task 로 등록한 후 response 를 먼저 반환하도록 할 수 있다.1. BackgroundT..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