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53)
[Slack Bot 만들기] 1. Slack app 생성 및 workspace 연동 [Python + Slack api로 Slack Bot 만들기] pyhton과 slack api를 이용하여 slack 채널에 자동으로 메세지를 올리는 slack bot을 만들 수 있습니다. 친구들과 매일매일 하루의 공부 내용을 til 채널에 올리고 있는데, 하루가 끝났을때 오늘 til을 업로드한 사람이 누구인지 정리해주는 메세지 봇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1. Slack app 생성 - 먼저 Slack api를 사용할 slack app을 생성하도록 한다. app.slack.com 페이지에서 create a custom app을 클릭합니다. slack api > your apps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create an App 버튼을 클릭해서 app 생성을 시작합니다. 위와 같은 팝업이 뜨는데, 사용할..
Ch1. 한눈에 보는 머신러닝 (1.1 ~ 1.3.1) ■ 머신러닝? - 기존의 머신러닝 - OCR (광학 문자 판독기), 스팸 필터 - 기계가 배운다는 것의 의미 1.1 머신러닝이란? ■ 머신러닝 - 데이터로부터 학습하도록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과학 - 명시적인 프로그래밍 없이 컴퓨터가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연구 분야다. - 어떤 작업 T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성능을 P로 측정했을 때 경험 E로 인해 성능이 향상됐다면,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작업 T와 성능 측정 P에 대해 경험 E로 학습한 것이다. • training set (훈련세트): 시스템이 학습하는 데 사용하는 샘플 • training instance (훈련사례, 샘플): 훈련세트의 각 훈련 데이터 • training data (훈련데이터): 훈련으로 인한 경험, 경험 E • accur..
ch05. 파이썬 날개달기 (클래스) 1. 클래스 ■ 클래스와 객체 - 클래스 (class): 특정한 것을 만들기 위한 설계 도면 - 객체 (object): 클래스를 통해서 만들어진 것 - 클래스를 통해서 만들어진 객체들 간에 서로 전혀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 Cookie라는 클래스 생성 class Cookie: pass # Cookie 클래스를 통해서 a, b 객체 생성 a = Cookie() b = Cookie() - 인스턴스: 클래스를 통해서 만들어진 객체를 뜻하는 말로 위의 예시에서 a는 객체이자 Cookie의 인스턴스이다. ■ 클래스 생성 - 클래스 구조 class ClassEx: # self는 해당 함수를 호출한 객체가 전달된다. def func(self, a, b): self.a = a self.b = b ''' self는 ..
ch04. 파이썬 프로그래밍 프로그램 입출력 (파일 읽고 쓰기) 3. 파일 읽고 쓰기 ■ 파일 생성 # 파일 객체 = open(파일 이름, 파일 열기 모드) f = open("새파일.txt", 'w') f.close() - 파일 열기 모드 • r: 읽기모드 • w: 쓰기모드, 기존 파일이 없어지고 새로운 파일이 생성된다. • a: 추가모드 (append), 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 추가시 사용 - f.close(): 열려있는 파일 객체를 닫아준다. • python은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종료시 열려있는 파일 객체를 자동으로 닫아준다. • 파일 객체를 닫지않고 재사용하려 하면 오류가 발생하므로 닫아주는 것이 좋다. ■ 파일 쓰기모드 # writedata.py f = open("C:/doit/새파일.txt", 'w') for i in range(1, 11): data ..
ch04. 파이썬 프로그래밍 프로그램 입출력 (사용자 입출력) 2. 사용자 입출력 ■ 사용자 입력 - input() • 입력되는 값을 문자열로 받는다 a = input() # input test 입력 print(a) # input test 출력 # input()을 통해서 입력받은 값을 문자열로 출력한다. - 프롬프트를 띄워서 입력받기 • input()의 argument로 입력되는 값을 프롬프트로 출력해준다.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 숫자를 입력하세요: # 3 입력 print(number) # 3 출력 ■ 출력 - print() - 큰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연산과 같다. print("life" "is" "too short") # lifeistoo short 출력 print("life" + "is" + "too short") # ..
ch04. 파이썬 프로그래밍 프로그램 입출력 (함수) 1. 함수 ​ ■ 함수 - 입력값에 대한 로직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반환한다. - 함수를 통해서 프로세스, 로직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 ■ 함수 구조 - 파이썬 함수 구조 def function_name(args1, args2): statement1 statement2 ... return result - def: 함수 선언을 위한 예약어 - 함수에 입력값이나 결과값이 없을 수 있다. ​ ※ parameter (매개변수) vs argument (인수, 전달인자) - parameter: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함수의 정의 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변수들 - argument: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값 ​ ■ 매개변수 응용 - 함수 호출 시 매개변수 지..
ch03. 파이썬 프로그래밍 제어문 (while, for) 2. while문 ​ ■ while문 - 조건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로직을 실행해야하는 경우 사용. ​ ■ while문 구조 # while문의 조건이 참인 경우 아래의 구문 실행 # 조건 아래의 구문은 들여쓰기가 필요하다. while {condition}: statement1 ... ■ break, continue - break: loop문을 탈출하도록 한다. - loop 내부에서 break 키워드를 만나는 경우 가장 가까운 loop문을 탈출하게 된다. ​ - continue: loop문의 처음, 조건문으로 이동한다. - loop 내부에서 continue 키워드를 만나는 경우 아래의 구문을 무시하고 loop문 의 처음으로 이동하게 된다. ​ ■ 무한루프 - while문 조건에 True인 값을 주어서 loo..
ch03. 파이썬 프로그래밍 제어문 (if) 1. if 문 ​ ■ if statement - 조건을 판단하여 상황에 맞는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 기본 구조 - if, elif, else if condition1: {logic for condition1} elif condition2: {logic for condition2} else: {logic for default situation} ■ 들여쓰기 (indentation) - 조건문과 같은 경우에 각 조건 내부에 실행할 문장은 들여쓰기하여 작성해야한다. ※ 조건문의 조건 다음에 콜론(:) 사용 ​ ■ 조건문 - 주어진 조건이 참, 거짓을 판단하여 참(True)인 경우에 조건문 내부의 코드를 수행한다. - 비교연산자 - and, or, not - in, not in - list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