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53)
[JAVA] 연산자 (Operator)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한다. 자바는 사칙연산 (+, -, *, /)를 비롯한 다양한 연산자들을 제공한다. 1.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산의 대상이 필요한데, 이것을 '피연산자 (operand)' 라고 한다. 피연산자로는 상수, 리터럴, 변수 또는 수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산자 (operator):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피연산자 (operand): 연산자의 작업 대상 x + 3 - 연산자: '+' - 피연산자: 'x', '3' '+' 연산자는 두개의 피연산자를 더해서 결과를 반환한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연산자는 두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며, 하나 또는 세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연산자도 있다.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한 후 항상 결과값을 반환한다. 2..
[GStreamer] GStreamer 개념 정리 GStreamer는 스트리밍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Deepstream은 GStreamer를 기반으로 한 SDK이기 때문에 GStreamer의 기본 개념을 우선적으로 정리한다. gstreamer 프레임워크는 모든 형태의 스트리밍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오디오나 비디오 한가지 타입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두가지 타입 모두를 다룰 수 있도록 개발이 되었다. 또한 어떤 종류의 데이터 흐름도 구성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구조로 되어있다. [gstreamer plugins] - protocols handling- sources: for audio and video- formats: parsers, formaters, muxers, demuxers, metadata, subtit..
[JAVA] 형변환 (casting) 1. 형변환이란? 모든 변수와 리터럴에는 타입이 있다.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서로 다른 타입간의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각 타입을 일치시켜야 하는데 변수나 리터럴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형변환 이라고 한다. 2. 형변환 방법 형변환을 하는 방법은 형변환시킬 변수나 리터럴 앞에 변환하고자 하는 타입을 괄호와 함께 붙여주면 된다. char id = 's'; int numId = (int)id; // (타입) 피연산자변수 // char형 id -> int형으로 변환 이떄 사용되는 괄호는 캐스트 연산자 또는 형변환 연산자라고 한다. 형변환을 한다고 하여 피연산자가 되는 변수의 타입 자체가 변경되지는 않고 다만 변수의 값을 변환된 값으로 반환될 뿐이다. 기본형 (primitive..
[JAVA] 변수 타입 - 기본형 (primitive type) 1. 논리형 (boolean) 논리형 타입에는 boolean 타입 한가지 밖에 없다. boolean 타입은 true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폴트 값은 false이다. true와 false 만 표현하면 되기 때문에 1bit만으로 구현 가능하지만 자바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단위가 byte기 때문에 boolean의 크기가 1byte이다. 2. 문자형 (char) 문자형 역시 char 하나밖에 없다.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이고 단 하나의 문자를 저장할 수 있다. char 타입의 변수에 문자를 저장하는데 실제로는 문자가 아닌 문자의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정수값이 저장된다.그렇기 때문에 문자 리터럴이 아닌 정수값을 사용하여 유니코드를 직접 저장할 수도 있다. 만일 저장되어있는 문자의 유니코..
[JAVA] 진법 및 진법변환 1. 10진법과 2진법 인류는 대부분 10진법을 사용하여 수를 계산한다. 반면에 컴퓨터는 2진법을 기반으로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연산 시에 10진수 값을 2진수 값으로 변환해줘야 한다. 우리가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에도 10진법의 수가 2진법으로 변환되어 저장이 되어진다. 2진법의 각 자리는 0 아니면 1밖에 표현을 못하기 때문에 10진법의 수를 2진법으로 바꾸는 경우 10진법에 비해 많은 자리수를 필요로 한다. 2. 비트와 바이트 한 자리의 2진수를 bit라고 하며 1bit는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단위이다. 그러다 1bit는 너무 작은 값이기 때문에 1bit를 8개 묶어서 1byte로 정의하여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word라는 단위가 있는데 이는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
[JAVA] 변수의 타입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값, data의 종류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숫자는 정수와 실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값의 타입에 따라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 형식을 정의한 것이 자료형, data type 이다. 자료형에는 문자형(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등이 있으며, 변수를 선언할 때는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알맞은 자료형을 변수의 타입으로 선택하면 된다. - 기본형과 참조형 자료형은 크게 실제 값을 저장하는 기본형과 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저장하는 참조형으로 나뉜다. 자바에서는 메모리의 주소값을 연산할 수 있는 C언어와는 다르게 참조형 변수 간의 연상르 허용하지 않으므로 실제..
[JAVA] 변수와 상수 1. 변수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 공간에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나의 변수에는 단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값은 사라진다. 2. 변수 선언과 초기화 - 변수 선언 변수의 선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변수 타입) (변수 이름) int age; age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한 예시이다. 변수 타입은 변수에 저장된 값이 어떤 타입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선언하는 변수에 저장하고자 하는 값의 타입의 종류에 맞게 타입을 선언해주면 된다. 변수 이름은 말 그대로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붙여준 이름이다.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이고 변수 이름은 해당 공간을 가리키는 ..
[JAVA] 자바 개발환경 구축 및 프로그래밍 시작 자바 개발환경 구축 1. JDK 설치 JDK는 Java Development Kit로 JVM과 자바클래스 라이브러리 (Java API) 외에 자바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필요한프로그램들이 설치된다. JDK를 설치한 후에는 설치된 디렉토리의 bin 디렉토리를 path에 추가해주어야 한다. path에 등록된 경로를 통해서OS가 파일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하는 경로로 디렉토리를 등록하면 따로 파일 경로없이 파일 이름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JDK의 주요 실행파일들은 다음과 같다. javac.exe: 자바 컴파일러, 자바 소스코드를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한다. java.exe: 자바 인터프리터, 컴파일러가 생성한 바이트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한다. javap.exe: 역어셈블러, 컴파일 된 클래스 파일을 원래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