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Linux

[Linux] 디스크 마운트 (fdisk, mkfs, mount, df)

반응형

서버의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고 추가 디스크를 마운트 작업을 정리한다.

1. 디스크 상태 확인

서버의 현재 디스크 정보를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fdisk 명령어는 서버의 디스크 파티션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크 파티션을 조작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아래와 같이 fdisk 의 l 옵션을 사용하여 디스크 파티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크 파티션 조회 결과로 /dev/xvda 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와 /dev/xvdb 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 두가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에서 /dev/xvda 디스크는 /dev/xvda1 으로 파티션이 나누어 있지만 /dev/xvdb 디스크는 파티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f 명령어로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하면, 위의 이미지에서 보는 것처럼 /dev/xvda1 디스크가 root 경로에 마운트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디스크 파티션

이제 xvdb 디스크를 추가하는 작업을 시작해보려 한다. 디스크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디스크에서 사용할 만큼의 용량의 파티션을 나누어야 한다.

 

fdisk [options] <disk>

 

디스크의 파티션을 조작하기 위해서도 fdisk 명령어를 사용한다. 이때 fdisk 명령어는 위와같이 fdisk 명령어 뒤에 디스크의 경로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위 이미지는 xvdb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눈 과정을 캡쳐한 것이다.

"fdisk /dev/xvdb" 명령어를 실행한다. fdisk 명령어를 실행하면 사용자가 실행할 명령어를 기다린다.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기 위해서 "n" 을 입력해준다.

 

※ fdisk 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fdisk --help

 

 

n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해서 partition type 을 입력받는데, primary 또는 extended 를 상황에 맞게 입력해준다. 그 다음음 파티션의 번호와 섹터 영역을 입력해준다. 디스크의 전체 섹터를 사용하기 위해 따로 값을 입력하지않고 default 값을 사용하도록 한다. 과정을 마치면 새로운 파티션이 생성되었다고 출력된다.

 

 

파티션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w" 명령어를 입력하여 작업을 디스크에 반영하고 fdisk 작업을 종료한다.

 

 

이제 fdisk 로 다시 디스크 파티션 정보를 확인하면 xvdb 디스크에 /dev/xvdb1 이라는 파티션이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스토리지 포맷

/dev/xvdb1 를 마운트하기전에 포맷을 수행한다. 해당 디스크를 ubuntu 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ext4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한다.

 

4. 스토리지 마운트

포맷이 완료된 디스크를 서버에 마운트한다.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운트 포인트가 될 디렉토리를 생성해주어야 한다.

 

 

/dev/xvdb1 디스크를 마운트할 /mnt/data1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그 다음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mnt/data1 에 스토리지를 마운트한다.

 

mount 명령어는 아래와 같이 스토리지 경로와 이를 마운트할 대상 경로를 입력해주어서 사용한다.

 

mount [options] <source> <directory>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dev/xvdb1 를 /mnt/data1 경로에 마운트한다.

이제 df 명령어로 디스크 정보를 조회하면 아래와 같이 /dev/xvdb1 디스크가 /mnt/data1 에 마운트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 마운트 정보 유지

Linux 서버에서 재부팅 후에도 마운트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etc/fstab 파일을 편집하여 볼륨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etc/fstab 파일은 부팅 단계에서 마운트해야할 볼륨 정보들이 저장되는 파일이다. xvdb1 디스크의 마운트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코드를 /etc/fstab 파일에 추가해준다.

 

 

각각 다음의 의미를 가진다.

 

- /dev/xvdb1: 볼륨 이름
- /mnt/data1: 볼륨 마운트 경로
- ext4: 파일 시스템 종류
- defaults.nofail: 마운트 옵션. nofail 옵션은 해당 파일 시스템이 사용불가한 상태여도 부팅 프로세스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 진행하는 옵션이다.
- 1: 덤프 설정. (0: 덤프되지 않는 파일 시스템, 1: 덤프 가능한 파일 시스템)
- 2: fsck 설정. fsck 명령어로 무결성 체크 여부를 지정. (0: 체크 안함, 1 이상의 정수: 숫자가 작은 순서대로 무결성 체크 수행)

[Reference]

- https://guide.ncloud-docs.com/docs/blockstorage-use-vpc

 

Block Storage 사용

 

guide.ncloud-docs.com

- https://millionairedeveloper.tistory.com/6

 

서버에 스토리지(storage) 연결(Mount)하기

일반 STORAGE mount디스크 파티션스토리지 상태 확인 및 추가 : fdisk 로 검사 명령어 : fdisk -l 출력 내용 Disk /dev/xvda: 53.7 GB, 5368709120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527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

millionairedeveloper.tistory.com

 

반응형

'Tech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사용자 권한 (sudo, sudoers, chmod, chown)  (2) 2023.11.28
[Linux] 사용자 계정 생성 (adduser, useradd)  (1) 2023.11.26
[Linux] 리눅스 locale 설정  (0) 2022.06.23
[Linux] df  (0) 2022.06.06
[Linux] PID, PPID  (0) 2022.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