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스템의 용량이나 성능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서 개략적인 추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효과적으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2의 제곱수, 응답지연값, 가용성에 관계되어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의 제곱수
데이터의 크기는 2의 제곱수로 표현할 수 있따. 데이터의 최소 단위는 1바이트이고, 8비트로 구성된다. ASCII 문자 하나가 차지하는 메모리 크기가 1바이트이다.
- 10제곱: 1KB
- 20제곱: 1MB
- 30제곱: 1GB
- 40제곱: 1TB
- 50제곱: 1PB
응답지연값
통상적인 연산들의 응답지연값을 분석하면 아래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메모리는 빠르지만 디스크는 느리다.
- 디스크 탐색 (seek) 은 가능한 한 피하라.
- 단순한 압축 알고리즘은 빠르다.
-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기 전에 가능하면 압축하라.
- 데이터 센터는 보통 여러 지역 (region) 에 분산되어 있고, 센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가용성 관련 수치
고가용성은 시스템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는 능력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가용성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3. 시스템 설계 면접 공략법 (0) | 2025.02.12 |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1.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0) | 2025.02.04 |
[SQLite] SQLite 설명 및 예제 (1) | 2023.10.17 |
[Celery] Celery 란? (0) | 2023.06.01 |
[FastAPI] BackgroundTasks (0) | 2023.05.26 |